HOME  /  SEARCH  /  LOG IN  /  SIGN UP
학회소식
정보마당
명사칼럼
홍보
자료실
포토존
KSIC 캘린더
기부내역
 
 Home > 게시판 > 정보마당 > 명사칼럼 > [축하의 글] SK텔레콤 이명성 부사장

 제목 |  [축하의 글] SK텔레콤 이명성 부사장
 작성자 |  Admin   작성일 |  2011/11/10 6:14 pm

"전문가 지식사회를 공대생이 만듭니다."

  SK Telecom  부사장 이명성 

현재 한국은 대규모 설비투자를 기반으로 한 하드웨어 중심의 산업이 발달되어 있고, 대기업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고용은 늘지 않으며, 중소기업은 저가의 노동 집약적인 일을 주로 하여 공대생이선호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앞으로 공대의 미래 방향은 무엇일까?
우리 보다 앞서 사회의 변화를 경험하는 미국, 영국의 예를 보자. 미국은 산업인력에서 농민은 1800년 90%였으나 현재는 2%에 불과하고, 제조산업의 인구는 1950년대 50%까지 증가하였다가 현재는 25% 정도이며, 정보서비스산업의 인구는 1900년 10%, 1950년 20%에서 현재는 50%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영국도 지식, 창조 서비스를 계속 발전시키고 있다. 선박산업에서 영국은 1900년에 세계선박의 60%를 생산하다가 지금은 전혀 생산하고 있지 않지만, 선박 관련된 지식서비스 즉 보험 등 금융, 선박관련거래 및 정보서비스 등을 주도하고 있다. 영국은 많은 소규모의 전문 중소기업이 대기업과 함께 일하고 있으며 이들은 개인의 전문성을 계속 발전시켜 전문성에 기반한 고용 안정을 만들고 있다.
앞으로 한국도 2만불 국민소득을 넘어 선진국으로 진입하고, 안정된 고용이 가능한 사회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전문성에 기반한 지식창조사회로 발전하여야 한다. 이러한 지식사회로 발전하기 위하여 공대생은 기술에 기반한 지식산업의 개발에 주력하여야 한다.
 
한국은 기술에 기반한 지식산업의 개발에 매우 유리한 환경에 있다.
첫째 한국의 산업기반이 전 분야에 잘 구축되어 있다. 조선, 자동차, 중공업, 화학, 건설, 전자 등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서 한국 기업이 활약하고 있다. 이러한 각 산업 분야에서 핵심기술을 개발하여 각 분야의 경쟁력을 높이는 작업은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필요로 하며 앞으로 많은 발전이 가능하며 많은 수의 전문가가 필요한 분야이다. 핵심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개발한 기술을 시스템에 적용하여 시험하고 개선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시스템을 생산하는 한국은 핵심기술을 개발하기 매우 유리한 환경이다. 우리가 전문성을 갖추게 되면 한국인의 창조성과 고객의 필요를 반영하는 신속성과 성실성은 우리를 분야의 최고 전문가로 만들 것이다.
 
둘째 한국에는 많은 서비스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선박 비행기 등의 물류 교통 서비스는 중국, 일본 동남아의 허브역할을 할 수 있는 한국의 지정학적인 위치와 한국 자체산업 발전에 따른 물류수요의 증가에 따라 세계수준으로 발전하고 있다. 한국의 마트, 백화점 등 유통은 세계적인 경쟁력을 만들어 세계 진출을 시도하고 있다. 한국의 의료서비스수준은 매우 높아 외국의 환자들이 찾아오고 있으며 교육은 한국인의 교육열과 자기개발노력에 따라 학원, 인터넷강의 등에서 최고의 수준이고,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한류를 만들어 세계에 진출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은 서비스와 관련된 많은 전문지식산업의 성장이 가능한 토양을 만들고 있으며, 기술의 적용으로 각 서비스 분여를 크게 발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한국의 인천공항이 서비스에서 세계 1위이지만 터미널의 물류시스템기술을 확보하지 못하여 터미널의 확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 동안 외국 기술에 의존하던 공항은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적용하기에 매우 좋은 환경이다.  한국의 병원에도 많은 기술기반의 새로운 서비스가 가능하며, 영화, 음악 등 엔터테인먼트 산업, 교육 산업 등도 많은 기술이 적용되는 분야가 되고 있다.  이러한 분야는 정보통신기술과의 융합으로 각 서비스 분야가 발전할 전망이며 한국은 최고수준의 정보통신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각 분야의 전문성과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한 지식서비스를 발전시키기 매우 유리한 환경을 갖고있다.
 
부지런하고 창조적인 특성의 한국국민이 전문성들 구비하면 많은 지식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며, 공과대학은 기술에 기반한 지식산업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기술 기반의 지식산업을 일으키기 위한 환경을 잘 갖추고 있다. 공과대학은 각 분야의 높은 수준의 전문가를 양성하고, 정부 기업 등은 지식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면 많은 수의 전문가 일자리를 만들고 우리가 세계의 전문가로 활약하는 사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목록보기 

이동: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04521) 서울시 중구 다동길 43, 203호(다동, 한외빌딩)
TEL : 02-2268-5567 / E-mail : ksic007@ksanhak.org
Copyright © 사단법인 한국산학협력학회 All rights reserved